분류 전체보기 (101) 썸네일형 리스트형 pivoting 상세설명 `pivoting` 함수는 퀵소트의 파티셔닝 개념을 스택 정렬에 적용한 것입니다. 이 함수의 주요 목적은 스택 A의 요소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는 것입니다.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:1. 피벗 설정: - `p1 = stacks->max_size / 3` - `p2 = (stacks->max_size / 3) * 2` 이 두 값을 기준으로 요소들을 세 그룹으로 나눕니다.2. 분류 과정: - val - p1 - val >= p2: 가장 큰 그룹. 스택 A에 남음.3. 동작 방식: - 스택 A의 top 요소를 확인합니다. - 값이 p2보다 작으면 pb로 스택 B로 이동시킵니다. - 값이 p1보다 작으면 추가로 rb를 수행하여 B의 아래로 보냅니다. - 값이 p2 이상.. 카메라 초기 설정 move_x와 move_y는 화면상에서 지도의 중심점을 어디에 위치시킬지 결정합니다. c cam->move_x = WINDOW_WIDTH / 2; cam->move_y = WINDOW_HEIGHT / 2; 이 설정의 의미와 효과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: 의미 WINDOW_WIDTH / 2와 WINDOW_HEIGHT / 2는 화면의 정중앙 좌표를 나타냅니다. 이 값들을 move_x와 move_y에 할당함으로써, 지도의 중심이 화면 중앙에 오도록 설정합니다. 예시 예를 들어, 창의 크기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봅시다: WINDOW_WIDTH = 1000 WINDOW_HEIGHT = 800 이 경우: cam->move_x = 1000 / 2 = 500 cam->move_y = 800 / 2 = 400 따라서 .. 선 좌표 초기화와 z축의 의미 line->transform_z는 Z축 변환에 사용될 값을 설정합니다.c line->transform_z = max((fdf->map->max_z - fdf->map->min_z), \ max(fdf->map->max_x, fdf->map->max_y)); 이 코드는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: Z축의 범위 계산: (fdf->map->max_z - fdf->map->min_z) X축과 Y축 중 더 큰 값 선택: max(fdf->map->max_x, fdf->map->max_y) 위의 두 값 중 더 큰 값을 transform_z로 설정 예시 지도의 크기가 다음과 같다고 가정해 봅시다: X축 범위: 0 ~ 100 (max_x = 100) Y축 범위: 0 ~ 80 (max_y = 80) Z축 범.. 등각법(isometric) 과 원근법(perspective) 계산 다음 공식은 3D 공간의 점을 2D 평면에 30° 기울어진 등각 투영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:x 좌표 변환:(x - y) * cos(30°): 이는 x축과 y축을 30° 회전시키는 효과를 줍니다.x와 y의 차이에 cos(30°)를 곱하여 수평 방향의 압축을 만듭니다.y 좌표 변환:(x + y) * sin(30°): x와 y의 합에 sin(30°)를 곱하여 수직 방향의 압축을 만듭니다.z를 빼는 것은 높이를 반영하여 3D 효과를 줍니다.이 변환으로 인해:모든 축이 동일하게 축소됩니다 (약 86.6%).축 간 각도가 120°가 되어 등각 효과를 만듭니다.깊이감이 생기면서도 평행선은 평행을 유지합니다.결과적으로, 3D 객체가 2D 평면에 입체감 있게 표현됩니다 이 함수는 3D 공간의 선을 2D 평면에 .. 그레디언트 컬러 표현 알고리즘 이 두 함수는 선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색상을 부드럽게 변화시키는 색상 그라데이션을 구현합니다. 실행 방향을 예시와 함께 설명하겠습니다.예시: 빨간색(255, 0, 0)에서 파란색(0, 0, 255)으로 변하는 100픽셀 길이의 선get_color 함수:입력: i_line (현재 픽셀 위치), line_size (전체 선의 길이)과정:progress 계산: 예를 들어, 50번째 픽셀이라면 progress = 50 / 100 = 0.5color_gradient 함수 호출color_gradient 함수:입력: color (시작색과 끝색 정보), progress (0에서 1 사이의 값)과정:a. 빨간색(R) 계산:delta_r이 -255일 때 (255에서 0으로 변화)50번째 픽셀: r = -255 * 0.5.. bresenham 알고리즘 설명 이 함수는 Bresenham의 선 그리기 알고리즘을 구현한 것입니다. 주어진 두 점 (start와 end) 사이에 선을 그리는 함수입니다. 각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:변수 초기화x_step, y_step: 선의 x와 y 방향 증분값을 계산합니다.max_steps: 선을 그리는 데 필요한 최대 단계 수를 계산합니다.i_line: 현재 그리고 있는 선의 단계를 추적합니다.color: 선의 색상 정보를 저장할 구조체 포인터입니다.선 그리기 준비x와 y의 증분값을 계산합니다.최대 단계 수를 x와 y 증분값 중 큰 값으로 설정합니다.증분값을 최대 단계 수로 나누어 정규화합니다.색상 정보를 초기화합니다. 실패 시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.선 그리기 루프while 루프에서 각 픽셀을 그립니다:현재 단계에 맞는 색상.. 정규화를 위한 z의 최소값 지정 t_map 구조체에서 z값만 최소값(min_z)을 지정하고, x와 y값은 최소값을 지정하지 않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z값의 특수한 역할과 데이터 처리의 필요성에 기인합니다. 아래에서 그 이유를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1. z값의 특수한 역할z값은 높이 또는 깊이를 나타냅니다.지도 데이터에서 z값은 지형의 높이, 건물의 층수, 또는 물체의 깊이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.이러한 z값은 상대적인 크기와 범위가 중요하며, 특히 3D 그래픽이나 지형 시각화에서 z값의 범위를 정규화하거나 조정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x와 y값은 평면 좌표를 나타냅니다.x와 y값은 일반적으로 지도의 가로와 세로 좌표를 나타내며, 이 값들은 절대적인 위치를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.x와 y값은 z값과 달리 상대적인 범위보다는 절대적인.. vim 에서 전체 선택 및 복사하기 Vim에서 전체 선택 및 복사를 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텍스트 편집기와는 다르게 동작합니다. Vim은 모달 에디터이기 때문에 명령어를 사용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. 아래에서 전체 선택 및 복사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드리겠습니다.1. 전체 선택하기Vim에서는 **비주얼 모드(Visual Mode)**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선택합니다. 전체 파일을 선택하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:**명령 모드(Command Mode)**에서 gg를 입력하여 파일의 맨 처음으로 이동합니다.비주얼 모드로 진입합니다:V를 입력하면 라인 단위 선택 모드로 진입합니다.Ctrl + v를 입력하면 블록 단위 선택 모드로 진입합니다.파일의 끝까지 선택합니다:G를 입력하면 파일의 맨 끝으로 이동하며, 전체 파일이 선택됩니다.2. 전체 복사.. 이전 1 2 3 4 5 6 7 ··· 1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