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lx_hook(fdf.win_ptr, 17, 1l << 15, destroy, &fdf);의 의미 파악을 통해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를 이해하기 쉽습니다.
1l의 의미
1l은 long 타입의 정수 1을 의미합니다. 여기서 l은 리터럴 접미사로, 이 값이 long 타입임을 나타냅니다.
long 타입은 일반적으로 32비트 또는 64비트 정수를 나타냅니다.
2. << 15의 의미
<<는 비트 왼쪽 시프트 연산자입니다. 이 연산자는 주어진 숫자의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시킵니다.
1l << 15는 1을 15비트만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는 의미입니다.
이를 계산하면:
Copy
1 (이진수: 0000 0000 0000 0001)을 15비트 왼쪽으로 시프트
결과: 1000 0000 0000 0000 (이진수)
이는 10진수로 32,768입니다.
3. 이벤트 마스크로 사용되는 이유
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**비트 마스크(bitmask)**를 사용합니다. 각 이벤트는 특정 비트 위치에 대응됩니다.
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이는 윈도우 시스템에서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나타내는 비트 마스크로 사용됩니다.
예를 들어, X 버튼을 클릭하거나 윈도우를 닫는 동작은 이 비트 마스크에 의해 감지됩니다.
4. 예시
만약 1l << 15 대신 1l << 16을 사용했다면, 이는 16번 비트를 활성화하는 것이며, 다른 이벤트(예: 윈도우 크기 변경)를 감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:
1l << 15: 윈도우 종료 이벤트
1l << 16: 윈도우 크기 변경 이벤트
1l << 17: 윈도우 포커스 변경 이벤트
5. 결론
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마스크를 생성합니다.
이는 윈도우 시스템에서 X 버튼 클릭 또는 윈도우 닫기와 같은 동작을 감지하고, 해당 이벤트가 발생하면 등록된 함수(예: destroy)를 호출하도록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요약
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는 비트 마스크입니다.
이는 윈도우 시스템에서 특정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표준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.
17은 **이벤트 타입(event type)**을 나타내는 값이고, 1l << 15는 **이벤트 마스크(event mask)**를 나타내는 값입니다. 이 둘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, 비트가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1. 이벤트 타입(event type) vs 이벤트 마스크(event mask)
이벤트 타입(event type): 특정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수 값입니다. 예를 들어, 17은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의미합니다.
이벤트 마스크(event mask):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트 마스크입니다. 예를 들어, 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.
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는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며, 비트가 다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2. 이벤트 타입(17)의 의미
17은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나타내는 고유한 정수 값입니다. 이 값은 시스템 또는 라이브러리에서 정의된 상수로, 특정 이벤트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.
예를 들어:
17: 윈도우 종료 이벤트
18: 윈도우 크기 변경 이벤트
19: 윈도우 포커스 변경 이벤트
이 값들은 이벤트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, 비트 연산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.
3. 이벤트 마스크(1l << 15)의 의미
이벤트 마스크는 **비트 필드(bit field)**를 사용하여 여러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하거나 특정 이벤트를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.
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는 마스크입니다.
예를 들어:
1l << 15: 윈도우 종료 이벤트 감지
1l << 16: 윈도우 크기 변경 이벤트 감지
1l << 17: 윈도우 포커스 변경 이벤트 감지
이벤트 마스크는 비트 연산을 통해 여러 이벤트를 조합하거나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(1l << 15) | (1l << 16)은 윈도우 종료 이벤트와 윈도우 크기 변경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하는 마스크입니다.
4. 왜 비트가 다른가?
이벤트 타입(17)과 이벤트 마스크(1l << 15)는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비트가 다릅니다.
이벤트 타입은 이벤트의 종류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.
이벤트 마스크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예를 들어:
이벤트 타입 17은 "윈도우 종료 이벤트"라는 의미만 가지고 있습니다.
이벤트 마스크 1l << 15는 "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라"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
5. 예시
이벤트 타입: 17 (윈도우 종료 이벤트)
이벤트 마스크: 1l << 15 (15번 비트 활성화)
이벤트 타입 17은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나타내는 고유한 값이고, 이벤트 마스크 1l << 15는 이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비트 마스크입니다. 이 둘은 서로 다른 개념이지만, 시스템 내부에서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가 매핑되어 동작합니다.
6. 결론
이벤트 타입(17)과 이벤트 마스크(1l << 15)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, 비트가 다른 이유는 각각 이벤트를 식별하고 감지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.
이벤트 타입은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수 값이고, 이벤트 마스크는 비트 연산을 통해 이벤트를 감지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히 정리하면:
이벤트 타입: "무슨 이벤트인가?" (예: 17은 윈도우 종료 이벤트)
이벤트 마스크: "어떻게 이벤트를 감지할까?" (예: 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감지)
실제로 이벤트 타입(17)과 이벤트 마스크(1l << 15)가 서로 다른 값을 사용하는 것은 처음 접할 때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. 이렇게 설계된 이유는 역사적 배경과 기술적 필요성에 기인합니다.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역사적 배경
초기 윈도우 시스템이나 GUI 라이브러리(예: X11, Win32 API 등)는 이벤트를 처리할 때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를 분리하여 설계했습니다.
이벤트 타입: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고유한 정수 값입니다. 예를 들어, 17은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의미합니다.
이벤트 마스크: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비트 필드(bit field)입니다. 예를 들어, 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합니다.
이러한 설계는 유연성과 호환성을 위해 채택되었습니다. 예를 들어, 여러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하거나 필터링할 때 비트 연산을 사용하면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.
2. 기술적 필요성
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는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됩니다.
이벤트 타입: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, 그 이벤트가 어떤 종류인지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17은 "윈도우 종료 이벤트"라는 의미만 가지고 있습니다.
이벤트 마스크: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예를 들어, 1l << 15는 "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하라"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
이벤트 마스크는 비트 연산을 통해 여러 이벤트를 조합하거나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:
c
Copy
(1l << 15) | (1l << 16) // 윈도우 종료 이벤트와 윈도우 크기 변경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
이렇게 하면 하나의 마스크로 여러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.
3. 왜 다르게 설계했는가?
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를 분리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:
유연성: 이벤트 마스크는 비트 연산을 통해 여러 이벤트를 동시에 감지하거나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. 이벤트 타입은 단순히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.
효율성: 비트 연산은 하드웨어 수준에서 매우 빠르게 처리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이벤트 마스크를 비트 필드로 설계하면 성능상 이점이 있습니다.
호환성: 기존 시스템이나 라이브러리와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설계를 계속 사용하고 있습니다.
4. 왜 헷갈리게 하나요?
이벤트 타입(17)과 이벤트 마스크(1l << 15)가 서로 다른 값을 사용하는 것은 초보자에게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계된 것입니다:
이벤트 타입은 이벤트의 종류를 나타내는 고유한 값입니다. 이 값은 시스템 또는 라이브러리에서 정의된 상수로, 변경되지 않습니다.
이벤트 마스크는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비트 필드입니다. 이 값은 비트 연산을 통해 유연하게 조합될 수 있습니다.
5. 더 쉬운 방법은 없을까?
실제로 많은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는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를 매핑하여 사용자에게 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:
c
Copy
#define WINDOW_CLOSE_EVENT 17
#define WINDOW_CLOSE_MASK (1l << 15)
이렇게 매크로를 정의하면 코드를 더 읽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
또한, 일부 라이브러리는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를 자동으로 매핑해주는 함수를 제공하기도 합니다. 예를 들어:
c
Copy
mlx_hook(fdf.win_ptr, WINDOW_CLOSE_EVENT, WINDOW_CLOSE_MASK, destroy, &fdf);
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마스크를 직접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.
6. 결론
이벤트 타입(17)과 이벤트 마스크(1l << 15)가 서로 다른 값을 사용하는 것은 역사적 배경과 기술적 필요성에 기인합니다.
이 설계는 유연성, 효율성, 호환성을 위해 채택되었지만, 초보자에게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.
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매크로나 라이브러리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히 정리하면:
이벤트 타입: "무슨 이벤트인가?" (예: 17은 윈도우 종료 이벤트)
이벤트 마스크: "어떻게 이벤트를 감지할까?" (예: 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감지)
이 둘은 서로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며,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에서 더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😊
mlx_hook(fdf.win_ptr, 17, 0, destroy, &fdf);에서 이벤트 마스크를 0으로 설정해도 잘 작동하는 이유는 mlx_hook 함수의 동작 방식과 이벤트 처리 메커니즘에 있습니다.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mlx_hook 함수의 역할
mlx_hook 함수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, 등록된 콜백 함수(예: destroy)를 호출하도록 설정하는 역할을 합니다.
함수의 시그니처는 다음과 같습니다:
c
Copy
int mlx_hook(void *win_ptr, int event_type, int event_mask, int (*f)(), void *param);
win_ptr: 윈도우 포인터
event_type: 감지할 이벤트 타입 (예: 17은 윈도우 종료 이벤트)
event_mask: 이벤트 마스크 (비트 필드)
f: 이벤트 발생 시 호출할 콜백 함수
param: 콜백 함수에 전달할 매개변수
2. 이벤트 마스크(event_mask)의 역할
이벤트 마스크는 특정 이벤트를 감지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
예를 들어, 1l << 15는 15번 비트를 활성화하여 윈도우 종료 이벤트를 감지합니다.
그러나 mlx_hook 함수는 이벤트 마스크가 0이더라도 이벤트 타입(event_type)만으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.
3. 왜 event_mask를 0으로 해도 작동하나요?
mlx_hook 함수는 이벤트 마스크(event_mask)가 0이더라도 **이벤트 타입(event_type)**을 기준으로 이벤트를 감지합니다.
즉, event_mask는 추가적인 필터링을 위해 사용되지만, 필수적인 조건은 아닙니다.
따라서 event_mask를 0으로 설정해도, event_type이 17(윈도우 종료 이벤트)로 설정되어 있다면, 윈도우 종료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콜백 함수(destroy)가 호출됩니다.
4. event_mask를 0으로 설정하는 경우
event_mask를 0으로 설정하면, 이벤트 타입(event_type)만으로 이벤트를 감지합니다.
이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모든 세부 사항을 감지하겠다는 의미입니다. 예를 들어:
윈도우 종료 이벤트(17)의 경우, X 버튼 클릭, Alt+F4, 프로그램 종료 등 모든 종료 동작을 감지합니다.
따라서 event_mask를 0으로 설정해도 문제없이 작동합니다.
5. event_mask를 명시적으로 설정하는 경우
event_mask를 명시적으로 설정하면, 특정 조건에서만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:
1l << 15: 윈도우 종료 이벤트 중 특정 조건을 감지 (예: X 버튼 클릭만 감지)
0: 모든 조건에서 이벤트 감지
6. 결론
mlx_hook(fdf.win_ptr, 17, 0, destroy, &fdf);는 이벤트 마스크를 0으로 설정했기 때문에, 윈도우 종료 이벤트(17)가 발생했을 때 콜백 함수(destroy)를 호출합니다.
이벤트 마스크가 0이더라도 이벤트 타입(17)만으로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.
다만, event_mask를 명시적으로 설정하면 특정 조건에서만 이벤트를 감지하도록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.
7. 추가 설명
mlx_hook 함수는 내부적으로 이벤트 타입(event_type)을 기준으로 이벤트를 감지하며, event_mask는 추가적인 필터링을 위해 사용됩니다.
따라서 event_mask를 0으로 설정해도 이벤트 타입이 정확히 설정되어 있다면 문제없이 작동합니다.
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히 정리하면:
event_mask = 0: 이벤트 타입(event_type)만으로 이벤트를 감지 (모든 조건에서 감지)
event_mask = 1l << 15: 특정 조건에서만 이벤트 감지 (예: X 버튼 클릭만 감지)
따라서 event_mask를 0으로 설정해도 윈도우 종료 이벤트는 정상적으로 감지됩니다. 😊
'C Languag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규화를 위한 z의 최소값 지정 (0) | 2025.01.28 |
---|---|
vim 에서 전체 선택 및 복사하기 (0) | 2025.01.28 |
temp->right->left = top vs temp = top (2) | 2025.01.25 |
스택 사이즈 변수 메모 (0) | 2025.01.25 |
CodeLLDB 설치후 launch.json 파일 (0) | 2025.01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