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 작업과 파이프, 그리고 입출력 리디렉션을 조합한 것입니다.
- < infile: 'infile'이라는 파일의 내용을 표준 입력으로 리디렉션합니다.
- ls -l: 긴 형식(long format)으로 디렉토리 내용을 나열합니다. 이 명령은 'infile'의 내용을 입력으로 받습니다.
- |: 파이프 연산자로, ls -l 명령의 출력을 다음 명령의 입력으로 전달합니다.
- wc -l: 입력으로 받은 텍스트의 줄 수를 세는 명령입니다.
- >outfile: wc -l 명령의 결과를 'outfile'이라는 파일로 리디렉션합니다.
전체적으로 이 명령은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:
- 'infile'에 나열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상세 정보를 긴 형식으로 나열합니다.
- 그 결과의 줄 수를 계산합니다.
- 계산된 줄 수를 'outfile'에 저장합니다.
이 명령은 'infile'에 나열된 항목의 개수를 알아내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'infile'이 디렉토리 이름 목록을 포함하고 있다면, 이 명령은 해당 디렉토리들에 있는 총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의 수를 계산하여 'outfile'에 저장합니다
입력 리디렉션 (<)은 파일의 내용을 읽기만 할 뿐, 수정하지 않습니다12. 이 연산은 파일의 내용을 명령어의 표준 입력으로 전달하는 역할만 합니다.
< infile은 infile의 내용을 ls -l 명령어의 입력으로 제공합니다3. 하지만 ls -l 명령어는 일반적으로 표준 입력을 무시하고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나열합니다.
파이프 (|)와 출력 리디렉션 (>)은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지만, 원본 파일인 infile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4.
전체 명령어 체인에서 infile은 읽기 전용으로 사용되며, 어떤 명령어도 이 파일을 수정하지 않습니다5.
따라서, 이 명령어 구조에서 infile은 단순히 데이터의 소스로 사용될 뿐, 그 내용이 변경되거나 수정되지 않습니다. 모든 데이터 처리와 변환은 파이프를 통해 메모리 상에서 이루어지며, 최종 결과만 outfile에 저장됩니다.
'C Languag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ipe 함수 사용법 (0) | 2025.01.18 |
---|---|
here_doc 모드로 사용자 입력 받기 (0) | 2025.01.18 |
pipex 구조체 설명 (0) | 2025.01.18 |
divide_pivot 함수 pivoting algorithm (0) | 2025.01.15 |
메모리 할당 해제 문제 | Memory Allocating Freeing Problem (2) | 2025.01.13 |